중봉(重峯) 조헌(趙憲) 선생 일대기 지당에 비 뿌리고(22)
상태바
중봉(重峯) 조헌(趙憲) 선생 일대기 지당에 비 뿌리고(22)
  • 조종영 작가
  • 승인 2021.06.10 11: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율곡 선생의 죽음과 중봉의 파직

보은 현감에 부임한 지 1년이 지나서 조헌은 반대 세력의 모함에도 다시 재임하게 됐다. 가을에는 이산보(李山甫, 1539~1594)가 경차관(敬差官)으로 호서지방의 민정을 살피고 돌아갔다. 경차관이란 필요에 따라서 국방, 외교, 재정, 산업 등 모든 분야에 걸쳐 특수임무를 띠고 지방에 파견하는 관리다. 손실(損實)이나 재상(災傷)에 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매년 파견했고 때로는 호구 증대, 토지 개간, 농업의 제고, 수령권의 남용, 부정과 침탈 등의 민원을 파악하기 위해서도 파견했다.

선조가 경차관 임무를 수행하고 돌아온 이산보에게 물었다.

“호서에 치적이 있는 수령이 누구더냐?”

이산보는 선조의 물음에 “신이 살펴본 바로는 충청우도에는 별로 잘 다스리는 수령이 없고 좌도에 보은 현감으로 있는 조헌이 백성을 다스림이 제일이라 하옵니다”라고 대답했다. 조헌의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은 이미 상소에서 잘 나타난 바가 있다. 백성들의 평안을 위해 골몰하는 그의 진심이 다소라도 임금에게 전해졌다는 것은 매우 다행한 일이었다.

조헌은 일찍이 통진 현감을 경험했고 전라 도사를 거치며 백성들의 실태를 자세히 확인한 바가 있었다. 더구나 가난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백성들의 고충을 누구보다도 잘 이해하는 관리였다. 이산해가 본 조헌의 치적에 대한 평가는 정확했고 선조도 그렇게 믿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헌이 재임되어 임기를 다 하기도 전에 그를 미워하는 무리의 모함에 산골 현감 자리마저도 위태로웠다. 사간원(司諫院)에서 조헌을 모함하는 데 앞장을 섰다. 1583년(선조 16년) 겨울,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송순(宋諄) 등이 임금에게 아뢰었다.

“보은 현감 조헌은 어리석고 망령된 자로 각박하게 일을 처리해 백성들이 많이 흩어지고 있습니다. 파직시키소서.”

이에 임금이 답하기를

“앞서 이 사람이 백성을 잘 다스린다고 들었다. 이와 같은 사람은 쉽게 얻을 수 없다. 윤허하지 않는다.”하고 이를 윤허하지 않았다. 조헌은 여러 번 고을을 잘 다스리는 치적(治績)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그는 성품이 강직하고 과감해 시류(時流)에 부합하지 않았다. 이때 사사로운 감정이 있던 송순이 조헌을 혐의하고 꺼려 논박하는 데 적극적이었으나 임금이 끝내 윤허하지 않았다. 1584년(선조 17년) 정월에 조헌은 뜻밖의 비보를 듣는다. 스승 율곡 선생이 세상을 뜨신 것이다. 자신의 호를 후율(後栗)이라 지을 만큼 존경하고 의지하는 스승이었다. 그의 학문적 사상은 율곡에서 받은 것이다. 관직에 매여 문상을 가지 못하는 안타까운 마음을 우위(虞位)를 베풀고 곡을 하는 것으로 대신했다.

이때 율곡 선생의 죽음을 애도하는 만시(挽詩)를 짓는다.

晩栗谷先生 율곡 선생 만시

胡爲夫子便長休 어찌하여 선생께선 길이 쉬게 가셨나
斯道斯民不幸秋 도(道)와 백성이 불행한 때로구나
弊瘼從今誰與議 민간 폐단을 뉘와 더불어 의논할 거며
危微自此罔攸求 마땅하고 옳은 학설 구할 길이 없구나
溪堂永夜憂時歎 밤새워 계당(溪堂)에 시국 걱정뿐이었고
海閣高談經世謀 해각(海閣)에서 이야기도 경세(經世)할 계책이었지
萬事悠悠嗟己矣 지나간 일 생각해야 어쩔 수 없건만
愚蒙增痛喪交修 어리석은 나로서는 더욱 슬퍼합니다

율곡 선생이 세상을 뜨자 당쟁은 날로 극심해지고 중봉에게 사사로운 감정을 가진 대간의 모함은 여전히 그치지 않았다. 전부터 중상모략이 있었으나 선조의 힘으로 간신히 유지됐는데 스승인 율곡 선생이 세상을 뜨자 중봉도 파직을 면치 못하게 됐다. 그해 겨울 또다시 간관(諫官)이 조헌의 파직을 들고나오자 선조는 결국 보은 현감의 파직을 명하게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