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성의 사회적 위계
상태바
관성의 사회적 위계
  • 김현희 명리학자
  • 승인 2021.07.22 16: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십성(十星)은 사주 이론의 꽃으로 십성없으면 사주를 해석할 수 없다. 

십성은 비견·겁재·식신· 상관·정재·편재·정관·편관·정인·편인이다. 십성을 비겁(비견과 겁재), 식상(식신과 상관), 재성(정재와 편재), 관성(정관과 편관), 인성(정인과 편인)으로 줄여 읽기도 한다. 십성 중에서 가장 높은 위계에 있는 것이 관성이다. 

관성(官星)은 사회, 국가, 질서, 외부환경으로 비겁(比劫)을 제압한다. 비겁은 나, 친구, 사람인데 관성(규율)으로 다스려져야 사회화 객관화되고 타인과 생활할 수 있는 공공적(公共的)인 사람이 된다. 

비견은 ‘나’와 같은 동류이고 ‘나’에게 해롭지 않은 지인이고 ‘나’에게 도움이 되는 사람이다. 겁재는 ‘남’이 ‘나의 것’을 빼앗거나 ‘내’가 ‘남의 것’을 빼앗는 경쟁적인 인간관계이다. 비견이 동등하게 교류하며 상호이익을 내는 관계라면 겁재는 경쟁하고 질투하고 시기하고 열등감과 우월감을 느끼는 인간관계이다.

사주에 비겁이 네 개 이상이면 남의 말을 듣지 않고 자기 고집으로 생활하다가 경제적으로 심리적으로 낭패를 볼 수 있다. 비겁이 많으면 이기려는 승부 욕망이 강해서 사람들과 화합하지 못하고 사람들을 자기식대로 바꾸려고 하다가 외롭게 된다. 

겁재는 경쟁에서 이기려는 마음이 크기에 이기면 우쭐하고 지면 분노한다. 비겁이 네 개 이상일 때 관성이 있어서 비겁을 제압하면 인간관계를 좋은 방향으로 이끌 수 있다. 고집 센 비겁(개인들)을 제압하는 관성이 사회적 위계로 본다면 제일 우위에 있는 것이다. 

관성은 외부 통제나 공공질서로서 비겁의 고집을 굴복시키는 객관적 권력이다. 비겁이 다섯 개 이상이면 주관적으로 만사(萬事)를 판단하다가 실패할 가능성이 있기에 관성이 있어서 비겁을 다스려야 좋다. 물론 사주에 관성이 네 개 이상이면 반드시 식상으로 제압하고 인성으로 화(化)해야 관성이 비겁을 잘 다스리게 된다. 사주는 십성(十星)이 골고루 있어야 좋다.

관성은 질서이며 법이며 공공윤리로 개인의 사적 욕망을 공공적으로 변화시키는 외부권력이다. 관성은 타인을 배려하고 개인의 이기적 욕망을 조절하고 사회질서에 합리적으로 적응하게 한다. 관성은 상하 지위에 맞게 말하고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 참을성이다. 관성은 여자에게 남편과 일과 사회규율이고 남자에게 자식과 일과 사회규율이다. 관성은 위계질서를 당연하게 생각하는 윤리이며 인간관계를 질서있게 통제하는 실천력이다.

십성의 사회적 위계는 ‘관성>비겁>재성>인성>식상’이다. 관성이 비겁을 조절하고 비겁이 재성을 제압해서 돈을 벌고 재성이 인성을 움직여서 머리를 쓰게 하고 인성이 식상을 조절해서 몸을 움직이게 하고 식상이 관성을 조절하면서 십성은 순환한다. 그러나 식상이 너무 많으면 관성이 힘을 쓰지 못하기에 사주에서 식상은 두 개 정도가 좋다. 식상은 개인의 표현력, 활동력으로 식상이 세 개 이상이면 관성을 극(剋) 하기에 위계 조직에서는 생활하기 힘들고 개인 사업이나 프리랜서 일이 좋다. 

식상은 먹고 사는 능력으로 부지런하고 다정하고 열정적이다. 식상은 의식주에 대한 기본 욕망이다. 식상이 재성(돈)으로 가려면 비겁이 생(生)해 주어야 재성으로 간다. 재성은 ‘비겁 생(生) 식상’이 벌어들인 열매로서 재산이며 재물이다. 월주(月柱)나 일지(日支)에 재성없이 식상만 있으면 큰 욕심없이 살지만 월주나 일지가 식상생재(食傷生財)로 흐르고 재성의 묘고(墓庫)인 진술축미(辰戌丑未)가 있거나 관성이 있어서 재생관(財生官)이 되면 큰 돈을 벌 수 있다.

관성 다음으로 꼭 있어야 할 게 비겁이다. 비겁은 건강함이다. 관성이 비겁을 다스리고 건강한 비겁이 식상을 움직여서 재성의 돈을 잡고 관성은 재성이 벌어들인 돈을 관리한다. 인성은 공부이다. 재성은 인성을 극 하는데 돈(재성)이 공부(인성)보다 중요하다는 논리이다. 재성은 몸으로 실천하는 능력이고 인성은 머리를 사용하는 능력이다. 공부도 돈이 있어야 하듯이 인성이 제대로 쓰이려면 재성이 있어야 한다. 재성에게 극을 당한 인성은 공부한 내용을 실용적으로 만들어 비겁을 돕고 비겁이 식상을 생해서 재성이라는 돈을 만들게 한다. 식상은 인성의 지식과 비겁의 건강함으로 성실하고 근면하게 생활하는 의지력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