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읽는 정지용 時 - "카페 · 프란스"
상태바
다시 읽는 정지용 時 - "카페 · 프란스"
  • 옥천향수신문
  • 승인 2016.02.25 16: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영미 시인과 함께 다시 읽는 정지용 時

              카페 · 프란스

김 영 미 시인

△‘정지용 시에서의주체 형성과정 연구’로 박사 학위취득.

△현 대전대 출강.

옮겨다 심은 종려나무 밑에
비뚜로 선 장명등.
카페 프란스에 가자.

이 놈은 루바슈카.
또 한 놈은 보헤미안 넥타이.
뻣적 마른 놈이 앞장을 섰다.

밤비는 뱀눈처럼 가는데
페이브먼트 흐늑이는 불빛.
카페 프란스에 가자.

이 놈의 머리는 비뚤은 능금.
또 한 놈의 심장은 벌레 먹은 장미.
제비처럼 젖은 놈이 뛰어간다.

‘오오 패롯(앵무) 서방! 굿 이브닝!’

‘굿 이브닝!’(이 친구 어떠하시오?)

울금향 아가씨는 이 밤에도
경사 커-튼 밑에서 조시는구려!

나는 자작의 아들도 아무것도 아니란다.
남달리 손이 희어서 슬프구나!

나는 나라도 집도 없단다.
대리석 테이블에 닿는 내 뺨이 슬프구나!

오오, 이국종 강아지야
내 발을 빨아다오.
내 발을 빨아다오.

- 학조; 1호 (1926 .6)

■ 작품 해설

  이 작품은 정지용(25) 시인이 일본 유학 시절인 1926년 조선인 유학생 문예지라는 공식 지면에 발표한 최초의 모국어 시이자 한국 현대시 태동의 전조로 평가되고 있다. 교토에서 겪었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그 배경은 프랑스풍의 카페이다.
  한국인 유학생들이‘프란스’라는 이름의 카페에 드나들며 술을 마시던 장면을 옮겨 놓고 있다.  시적 공간은 ‘카페프란스’ 를 찾아 헤매는 젊은이들과 밤거리의 풍경. 그리고 카페의 실내 풍경이다. 외래어와 화려한 비유로 이국적인 소재를 동원하며 근대 문명의 상징을 드러내는데, 전체적으로 차갑고 싸늘한 이미지로 묘사된다.
  이 시는 ‘카페’ 라는 폐쇄된 현실 공간을 상징적으로 드러내 나라 잃은 가난한 유학생들이 겪어야 하는 외로움과 슬픔의 정서를 나타내고 있다. 그 안에서 테이블에 엎드려 고통스러워하고 고독과 비애로 흐느끼는 지식인 청년의 감정을 통해 시인의 반일정서와 함께 이에 맞서 투쟁하지 못하고 무너져가는 자학과 자기비판적인 측면을 발견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