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新, new)
상태바
새(新, new)
  • 이종구 수필가
  • 승인 2022.02.10 11: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에 신문이라는 매체가 생긴 것은 조선 고종 임금 시대였다. 1883년 한성순보가 박문국에서 출간됐다. 이름 그대로 10일에 한 번씩 발행됐다. 그 후  1896년 서재필이 민간 발행의 독립신문을 창간했다. 이때부터 ‘신문’이라는 이름이 등장한 것 같다. 

‘신문’, ‘새로운 것을 듣는다’라는 말로 새 소식(news)을 전하는 말이 됐다. 그런데 왜 신견(新見 새로 봄)이라 하지 않고 신문(新聞 새로 들음)이라 했는지 궁굼하다. 

‘새’라는 말을 생각해 본다. 우리 말 ‘새’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①이미 있던 것이 아니라 처음 마련하거나 다시 생겨난 ②사용하거나 구입한 지 얼마 되지 아니한’이라고 풀이 하고 있다. 그래서 ‘새’라는 말은 새것으로 기분이 좋고 상쾌하며 알아보고 싶고 갖고 싶고 관심을 갖게 하며 마음에 담겨지는 매력이 있다.

영어의 new는 ①새로운, 참신한 ②처음 보는(듣는) ③아직 안 쓴, 신품의, 중고가 아닌 ④신선한, 싱싱한, 갓 나온 ⑤현대(근대)적인, 혁신적인 등 여러 의미를 담고 있다. 한자의 新은 도끼(斤 근)로 나무를 베고 나무를 다시 심는다는 뜻 같다. 오래되어 죽고 썩은 나무를 베고 새롭게 나무를 심는다는 의미 같다. 

며칠 전 마을의 목로집에서 어르신들과 자리를 같이 한 적이 있었다. 이런저런 이야기가 오고 가던 중 화제가 ‘정치’로 옮겨졌다. “정치 소식이 텔레비전에 나오면 텔레비전을 끄거나 채널을 바꾼다”는 말이 공통의 의견이었다. 정치 뉴스는 새 소식이 아닌 낡은 소식이 된 것이다. 뉴스도 세분화했으면 좋겠다. 새 소식과 상(傷)소식, 썩은(腐)소식 등으로 구분하여 보도하면 어떨까?

연말 연시를 맞아  소외된 이웃을 찾는 뉴스가 나온다.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 감동의 뉴스들이 있다. 어려운 이웃에게 나눔을 전하는 많은 이웃들의 소식은 새 소식이었다.

그러나 오로지 자신들만이 국민을 위해 일한다는 착각에 빠져있는 몇몇 분들의 작태는 상한 소식이고 썩은 소식이었다. 삶의 어려움에 있는 이웃들 보다는 자신들의 권력 욕심에만 급급하는 모습들은 새 소식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하기 어렵다. 출근길에 기다리는 열차가 연착된다는 소식과 같은 썩은 소식이다.

‘새’는 희망이다. 마음에 담겨지는 감동이 있다. 추운 겨울 봄을 기대하면서 굳이 ‘새봄’이라고 표현한다. 해마다 오는 봄이지만 희망을 담은 새봄이다. 자동차를 구입하면서 ‘새 차(新車)’샀다고 한다. 즐거움과 뿌듯함과 새로움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처음으로 차를 구입하는 사람들도 중고차를 사고는 ‘새 차’ 샀다고 하지는 않는다. 주택도 마찬가지이다. 분양받아 입주할 때 ‘새 집’ 샀다고 한다. 새로운 거주의 희망과 기대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오래된 집을 구입할 경우는 그냥 집 샀다고 한다. 

국민에게 새 소식을 주는 나라, 애국심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애국심이 생겨나게 하는 나라, 그런 나라를 만들어가는 지도자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황희 정승, 맹사성 정승같이 덕으로 모범을 보이며 후진을 이끌어 가는 지도자들이 많았으면 좋겠다. 그래야 ‘새 소식’이 많아진다. 

대통령 선거가 얼마 남지 않았다. 봄맞이와 더불어 새 소식만 가득했으면 좋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