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견과 겁재는 건강한 몸과 의지력이다. 식신과 상관은 전문기술과 낙천성이다. 정재와 편재는 돈 벌기 위한 목표의식이다. 정관과 편관은 위계질서에 적응하며 사람관리를 잘 한다. 정인과 편인은 학문, 실력이다. 십성은 사주를 해석하는 기본 이론이다. 십성은 비견(친구), 겁재(경쟁자), 식신(재능), 상관(언변), 정재(성실함), 편재(활동력), 정관(모범생), 편관(희생심), 정인(학력), 편인(융통성)이다. 비견은 형제, 친구, 동료이다. 자립심, 독립심으로 세상에 적응한다. 겁재는 승부욕, 경쟁심이다. 지기 싫어서 열심히 노력한다
명리학 이야기 | 김현희 명리학자 | 2019-12-05 14:30
사주를 보는 방법이 가지각색이다. 음양오행, 생극제화, 형충파해, 십성, 십이운성, 십이신살, 물상으로 볼 수 있다. 사주에서 목, 화, 토, 금, 수가 몇 개인지 세어보고 각 오행의 생극제화를 읽는 것도 한 방법이다. 나무가 많으면 앞으로 밀고 나가기를 잘 한다. 불이 많으면 확장하는 기운이 있으며 밝고 명랑하다. 토가 많으면 중화하는 기질이 있으며 묵직하고 신뢰가 있다. 금이 많으면 결단하는 힘을 발휘하며 의리가 있다. 물이 많으면 유연하며 생명을 키우는 근원지가 된다는 의미로 간단하게 해석할 수도 있다.사주해석은 백인백색이다.
명리학 이야기 | 김현희 명리학자 | 2019-09-05 15:02
12운성은 태어나서 죽는 과정을 12단계로 나눈 이론이다. 1. 엄마의 자궁에서 잉태되는 태(胎), 2. 뱃속에서 자라는 양(養), 3. 태어나는 장생(長生), 4. 사춘기인 목욕(沐浴), 5. 결혼하는 관대(冠帶), 6. 직장생활을 하는 건록(建祿), 7. 최고의 지위에 오르는 제왕(帝旺), 8. 은퇴하는 쇠(衰), 9. 병이 드는 병(病), 10. 죽는 사(死), 11. 묻히는 묘(墓), 12. 뼈까지 흙으로 변하는 절(絶)이다. 그리고 절에서 다시 태어난다. 그것을 절처봉생(絶處逢生)이라고 한다. 절(絶)지에 생(生)이 있다는
명리학 이야기 | 김현희 시인·명리학자 | 2019-06-27 13:41
사주에 ‘목화토금수’가 골고루 배치되어 있으면 건강하다. 질병은 하나의 오행이 아주 약하거나 아주 강할 경우에 발생한다. 사주에 나무만 많은데, 금 기운이 하나뿐이다. 그럴 경우에 금 기운의 장부에 병이 생긴다. 금 기운의 장부는 폐, 대장이다. 각각의 오행에 따라 질병이 생기는 부위가 다르다. 갑(甲)은 담과 머리, 을(乙)은 간과 목, 병(丙)은 소장과 어깨, 정(丁)은 심장, 무(戊)는 위장과 갈비, 기(己)는 비장과 배, 경(庚)은 대장과 배꼽, 신(辛)은 폐와 다리, 임(壬)은 방광과 정강이, 계(癸)는 신장과 발을 상징한
명리학 이야기 | 김현희 시인·명리학자 | 2019-04-25 16:19
십성은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이다. 십성은 사주학의 꽃으로 개인의 사회적 관계성을 알려준다. 비견은 독립심, 결단력, 추진력, 건강함이다. 남에게서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강하다. 대인관계를 중시하고 타인을 배려한다. 공사구분을 잘 하고, 자신감이 있어 솔직하게 자기를 표현한다. 겁재는 ‘재산을 빼앗다.’는 의미이다. 경쟁적이고 투쟁적이고 밀어붙이는 힘이다. 리더십과 승부사 기질이 있다. 의리와 신용을 중시하며 강자에게 저항하고 약자를 보호한다. 맹렬하게 노력한다. 비견과 겁재의 특징은
명리학 이야기 | 김현희 시인·명리학자 | 2019-01-31 15:23
명리학 원리는 음양오행의 생극제화이다. 천간과 지지가 생(生)하는지 극(剋)하는지 제(制)하는지 화(化)하는지를 보고 운명을 해석한다. 흔히 듣는 도화살이나 역마살, 공망살, 화개살 등은 음양오행의 원리와 맞지 않는다. 그러나 예부터 전해 온 술법이기에 알고 있으면 좋겠다. 신살에서 신(神)은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살(殺)은 부정적인 역할을 한다. 천을귀인, 문창귀인은 긍정적인 신이다. 삼형살, 도화살, 홍염살, 역마살, 백호살, 괴강살, 양인살, 삼재, 원진살, 귀문살, 파살, 해살은 부정적인 살이다. 천을귀인은 만 가지 신을
명리학 이야기 | 김현희 시인·역학자 | 2018-10-18 14:14